exit()만 적으려다가 양이 적은가 싶기도 하고 그냥 자주 안써서 손에 안익은(?) 함수들을 좀 적어봤다.
1. exit()
코드를 강제 종료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함수
break, contunue들이랑 헷갈릴 수 있는데 얘내는 반복문을 벗어나는(제어하는) 함수이다.
기본적인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.
exit(0) # 성공적 프로그램 종료 (EXIT_SUCCESS)
exit(1) # 성공적X 프로그램 종료 (EXIT_FAILURE)
quit() # (SystemExit)
sys.exit("성공적으로 프로그램 종료") # SystempExit: 성공적으로 프로그램 종료
근데 뭐 다 모르겠고 거의 exit(0)만 알면 된다.
사용했던 이유는 3차원 배열에서 삼중 for문에서 -1출력하고 끝내야 했을 때 사용했다.
2. ljust(), rjust()
문자열 정렬할때 사용하는 String에 속한 함수
형식은 다음과 같다.
rjust(n, c=’ ’) : 문자열을 오른쪽으로 n만큼 정렬. (빈 칸은 c로 채움(default = ‘ ’))
ljust(n, c=’ ’) : 문자열을 왼쪽으로 n만큼 정렬. (빈 칸은 c로 채움(default = ‘ ’))
사용 예는 아래와 같다.
s1 = "zxc"
s2 = "qwe"
print(s1.rjust(10)) # zxc
print(s1.rjust(10,'v')) #vvvvvvvzxc
print(s1.ljust(5)) #qwe
print(s1.ljust(5,'v')) #qwevv
3. zfill()
지정한 자리수에서 모자란 자리수를 0으로 채우는 함수
rjust(n, c=’0’) == zfill(n) 기본적으로 위 내용을 이해했다면 이런 느낌이다.
그래서 같이 적어놓으려다가 따로 적은 이유는 차이점이 존재해서다.
+ - 부호가 포함되면인데 코드랑 같이보자.
plus_num = '+123'
minus_num = '-123'
print(plus_num.zfill(10)) #+000000123
print(minus_num.zfill(10)) #-000000123
print(int(plus_num.zfill(10)) - int(minus_num.zfill(10))) #246
자릿수를 포함해서 저 두 부호는 맨 앞으로 간다는 것.
물론 인자로 가져올 때는 문자열이여야 한다. (반환값도 문자열 타입이다.)
그치만, 정수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변환하여 부호도 나오는 것 보면… 그래도 굳이 쓸 이유까지는 모르겠다.
4. center()
이 함수를 3번으로 올릴까 고민했는데 그냥 냅뒀다.
ljust(), rjust()는 있는데, just()는 없다. 대신 center()가 가운데 정렬해주는 함수이다.
사용법은 비슷하다.
print('123'.center(5)) # 123
print('123'.center(5, '+')) #+123+
# 정확하게 가운데 정렬이 안되면 뒤에 하나 더 붙는 것 같다.
print('123'.center(10, '*')) #***123****
Notion Link : https://solar-textbook-084.notion.site/exit-ljust-rjust-center-3fe10f1997154db797903e9989b853d6